목록lg u+ (15)
민동
RIS에 이어 오늘은 인공위성 이동통신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다. 영상에서는 호주 이동통신사를 기준으로 이야기하고 있는데 나는 이걸 한국의 통신사에 관련지어서 한번 풀어보려고 한다! 따라서, 영상과 결은 같지만 다루는 내용은 많이 다를 수 있으니 혹시 호주 이통사의 이야기를 듣고 싶다면 영상을 확인하면 좋을 것 같다. 1. 인공위성 이동통신 TTA 정보통신용어사전에 의하면 인공위성 이동통신(위성통신)은 인공위성을 사용하여 지상과 위성 간 또는 위상 상호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이라고 한다. 즉 위성을 가지고 통신을 하는 것! 이라고 쉽게 이해하면 된다. 위 사진처럼 기존 기지국은 코어네트워크와 유선망으로 연결되고 기지국과 단말은 무선으로 연결되었다면, 위성통신은 코어 네트워크 - 인공위성 - 단..
지금까지 포스팅은 5G 기술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는 것들이었다. 오늘은 이것에 변주를 주어 6G 차세대 기술인 RI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이 기술이 나오게된 배경부터 살펴보자. 0. 6G와 RIS의 등장3G, 4G, 5G가 등장하고 이제 6G가 등장할 차례가 왔다. 매번 더 빠른 속도, 더 낮은 지연, 더 높은 신뢰성을 목표로 발전해온 이동통신 표준에서 6G는 THz 주파수 대역 활용, AI와의 융합 과 같은 부분을 선보이려고 한다. 현재 5G에서 사용하는 대역폭은 mmWave를 이용할 경우 최대 100 GHz까지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 속도를 올리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대역폭이 넓어지면 coverage가 점차 좁아진다. 그 이유는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록 직진성이 강하고 회절성 ..
오늘은 CoMP에 대해서 알아보자.1. CoMPCoMP란, Coo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이라는 뜻으로 Multi-Point (다중 기지국)을 조정해 신호의 간섭을 줄이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뜻한다. ICIC를 사용하는 비슷한 환경에서 다르게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위 그림과 같이 UE가 각 Cell의 Edge에 놓여있다고 하자. 우리가 알아봤던 ICIC의 경우 이 상태에서 RB를 나누어 간섭을 줄였다. eICIC는 스케줄링을 통해서 시간별로 모든 RB를 사용할 수 있게끔 하였다. ICIC는 간섭을 줄이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면 CoMP라는 기술은 두 Cell을 이용해서 신호를 받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Cell Edge에 놓인 UE는 간섭도 간섭..
꽤나 감질맛 나는 엔딩으로 마무리 된 지난 포스팅에 이어 오늘은 eICIC, FeICIC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보겠다. ICIC는 Inter 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이라는 뜻으로 다른 셀 간 발생하는 간섭을 조정하는 기술을 뜻한다. 이 기술은 RB를 나누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간섭을 줄였다고 말했는데, 문제가 있었다. 바로 사용가능한 RB 개수가 줄어든다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QoS가 저하되고 UE가 많아지면 자원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했는데.. 여기에 한 가지 더 문제점이 추가된다. 그림은 큰 Macro Cell 안에서 신호가 닿지 않는 blind spot에서 신호 연결을 위해 중계기와 같은 장치를 통해 Pico Cell을 만든 모습이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
이번엔 ENDC에서 ANR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1. ANR ANR이 무엇인지는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적이 있다.그래도 간단하게 ANR이 무엇인지 말해보자면, ANR(Automatic Neighbor Realations)는 gNB가 다른 gNB의 Cell 정보를 자신의 주소록에 자동으로 업데이트 시키는 기술이다. 위 사진을 보자. 현재 UE는 A에서 B로 handover를 하고있는 상태이다. handover를 하기 위해 UE는 B가 자신을 알리는 메시지인 PCI를 A에게 알려준다. (왜 PCI를 알려주냐고? --> 이동하려는 target cell을 명확히 식별하여 handover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하지만, A의 주소록에는 B의 정보가 PCI 외에 없다. 따라서 A는 더 자세한 ..
이전 포스팅에서 MOCN과 MORAN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다. 오늘은 저 둘의 기술적인 내용을 소개해 보겠다. 1. MOCN & MORAN 이전 포스팅에서 MOCN과 MORAN의 CN과 RAN은 Core Netwrok와 Radio Access Network를 뜻한다고 했으며, 각각은 RAN을 어떻게 공유하는지 그 구현 방식에 따라 MOCN과 MORAN으로 나뉜다고 하였다. 그림으로 이해할 수 있듯이 MOCN은 같은 Carrier를 공유하여 사용하며, MORAN은 RAN은 공유하지만 다른 Carrier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구현방식의 차이점을 가진다. MORAN 같은 경우 주파수 대역을 다르게 사용하기 때문에 각 통신사가 독립적으로 주파수를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MOCN에 비해 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