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mimo (3)
민동

오늘은 CoMP에 대해서 알아보자.1. CoMPCoMP란, Coo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이라는 뜻으로 Multi-Point (다중 기지국)을 조정해 신호의 간섭을 줄이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뜻한다. ICIC를 사용하는 비슷한 환경에서 다르게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위 그림과 같이 UE가 각 Cell의 Edge에 놓여있다고 하자. 우리가 알아봤던 ICIC의 경우 이 상태에서 RB를 나누어 간섭을 줄였다. eICIC는 스케줄링을 통해서 시간별로 모든 RB를 사용할 수 있게끔 하였다. ICIC는 간섭을 줄이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면 CoMP라는 기술은 두 Cell을 이용해서 신호를 받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Cell Edge에 놓인 UE는 간섭도 간섭..

이전 포스팅에서 MIMO와 Beamforming에 대해서 다룬 적이 있었다. MIMO는 비싼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기술로 많은 안테나를 달아서 데이터를 한 번에 많이 보낼 수 있게 한다. 이런 MIMO 덕에 빔포밍과 같은 기술도 가능해졌다. 오늘은 MIMO의 좀 더 세분화 된 기술 MU-MIMO와 SU-MIMO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1. MU-MIMO (Multi User - Multiple input Multiple out)MU-MIMO는 Multi User에게 MIMO를 사용하는 기술이다. 기존에 데이터를 gNB, eNB가 받았을 땐 스케줄링을 통해서 데이터를 A, B, C에게 보냈다. 왼쪽 그림의 경우 2:30부터 차례대로 A, B, C에게 데이터를보내고 있다. 즉, ..

오늘은 Massive MIMO에 대해 배워보았다.먼저 MIMO가 어떤 개념인지, 어떻게 나오게 된 것인지를 알아보자. 1. 주파수 경매주파수 경매를 들어본적 있을지 모르겠다. 주파수는 국가가 관리하는 국가 자산으로, 경매 방식으로 민간 기업에게 주파수를 '임대'해주고 있다. "주파수가 경매를 할 정도로 그렇게 귀한 자원인가?"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주파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갖춰야할 필수 자산이다. 그렇기 때문에 통신사들은 눈에 불을 켜고 더 많은 주파수를 차지하려고 노력한다.2018년에 이루어진 5G 경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금만 봐도 약 3조 가량의 돈이 왔다 갔다 하는 것을 볼 수 있다...나도 조금만.. 2. MIMOMIMO(Multi input Multi Out put )는 이 한정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