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5G STUDY (76)
민동

연이은 연휴 알바로 인해 상태가 말이 아니다.. 하지만 할건 해야지 지난 RRC State 포스팅을 통해 4G, 5G NAS, SA에서 State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inactive 상태가 무엇인지 깊이 들여다보았었다. 이번 편에서는 약 두 편에 걸쳐 사진의 초록색 글씨들의 역할들을 알아볼 것이다.가보자! 1. Signaling Flow위 사진에서 보았듯 남은 RRC의 역할은 SIB 관리 및 처리, SRB-DRB관리, Radio Link 관리, Security related, NAS message transfer이다. 우리는 이 역할들을 단말이 초기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폰을 껐다 키면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BS의 신호를 받는다. 모든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MIB와 SI..

이제 약 8개 강의가 남았는데.. 방학 때마다 진행한 포스팅이라 복습을 한 번 해야할 것 같다. 오늘은 RRC State와 Paging msg에 대해서 알아보자. 1. RRCRRC 는 Radio Resource Control의 약자로, Control Plane에 위치한 계층이다. Control plane은 데이터를 직접 주고 받는 User Plane과 다르게 그러한 송수신을 위한 전반적인 시스템을 총괄하는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도 RRC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연결 설정 및 해제, 상태관리, 핸드오버와 같은 기능들을 담당한다. 이 외에도 굉장히 많은 역할을 가지고 있는데.. 위 사진을 보면 RRC의 역할이 무엇인지 개략적으로 알 수 있다. 이 중에서 오늘은 RRC State 관리에 대해 더 DEEEE..

MCS에 이어 오늘은 SINR과 Reference signal에 대해 알아보자. MCS는 채널상태에 따라 변조, 코딩률을 어떻게 설정해야하는지를 알려주는 가이드라인이라고 했다. 이 MCS를 결정하는데 주로 CQI가 사용되는데.. 이 CQI는 채널 상태를 측정해야 알아낼 수 있는 값이다. 이 부분에서 채널 상태를 어떻게 알아내는지가 오늘의 주제와 관련이 있다. 1. SINR과 RSCQI를 알아내기 위해 단말은 자신의 Radio 채널 상태를 측정해야한다. 이때 사용되는 지표가 바로 SINR이다. SINR은 Signal to Interference & Noise Ratio라는 뜻으로 신호 대 간섭, 잡음비를 의미한다. 이때 signal은 RSRP를 뜻하는데 RSRP는 Reference Signal Receiv..

오늘은 MCS와 Link Adaptation에 대해 알아보자.1. MCSMCS는 Modulation Coding Scheme을 뜻한다. Modulation과 Coding에 대해서 알아야하는데.. Modulation같은 경우는 과거에 포스팅한 적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MCS에서 Coding은 데이터를 보낼 때 에러 수정코드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원본 데이터 신호를 보낼 때 에러 수정을 위한 데이터도 추가로 보낸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위 그림처럼 데이터를 7bit 보낸다고 가정해보자. 초록색의 5bit는 내가 보낼 데이터이고 빨간색의 2bit는 5bit를 위한 에러 수정 bit이다. 그렇다면 이 2bit가 왜 필요할까? 바로 라디오 채널 상태가 항상 깨끗하지 않고 일정 간섭이 존재하기..

드디어 70장까지 왔다!현재까지 강의가 약 81장 까지 있으니 앞으로 11일만 더 열심히 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아마 6G에 대해서 많이 다룰 것 같은데, SKT에서 나온 6G 백서로 시작을 하지 않을까 싶다. 각설하고 오늘은 LAA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Licensed Assisted Access라는 뜻으로 이 기술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기술이다. 뭔 소린가 싶을텐데 한번 잘 따라와보도록! 1. Licensed vs Unlicensed Spectrum LAA에 대해 알기 위해선 우선 Licensed, Unlicensed Spectrum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이전에 한번 Massive MIMO를 다루면서 주파수 경매에 대해 다룬 적 있다. 통신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은 바로..

위성통신에 이어 IAB 기술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다. IAB? 아이앱 스튜디오를 떠올리면 큰 오산이다. 1. IAB (Intergrated Access and Backhaul)이 기술을 직역하면 통합된 무선망과 백홀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Access는 RAN을 줄여 말하므로 무선망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Backhaul은 무슨 뜻인지 바로 떠올리기 힘들다. Backhaul은 Core network와 BS 간 링크를 뜻한다. 그렇다면 Midhaul과 Fronthaul도 유추가 가능하다! (정답을 알고싶다면 여기) 따라서 무선망과 코어네트워크 기지국간 링크를 합치겠다! 라는 것이 IAB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현재 Core Network와 연결된 BS 사이는 파란색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