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is (3)
민동

이 카테고리에 처음으로 유의미한 포스팅을 하는 것 같은데.. 만들어 놓고 워낙 바빠서인지 게을러거인지 미루고 미루다 이제야 글을 쓰게 된다. 각설하고, 6G에 대해서 아주 간단하게 알아보려고 한다. 이 포스팅 역시 유튜버 호통사님의 5G study 76강. "6G...가오나"를 참고했다. 1. 6G는 올까요? 6G 개발, 5G 개발 등 통신 규약, 전파 사용 등 통신 시스템 전반의 표준을 정하는 기관은 ITU이다. 이 중에서 ITU-R은 무선/주파수를 담당하는 기구로 전 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주파수 정책을 조율하는 기관이라고 보면 된다. 위 사진이 ITU-R과 무슨 상관이 있느냐? 라고 하면, 저 사진은 ITU-R이 6G 개발을 위해서 내놓은 타임라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IMT-2030은 6G, 20..

위성통신에 이어 IAB 기술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다. IAB? 아이앱 스튜디오를 떠올리면 큰 오산이다. 1. IAB (Intergrated Access and Backhaul)이 기술을 직역하면 통합된 무선망과 백홀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Access는 RAN을 줄여 말하므로 무선망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Backhaul은 무슨 뜻인지 바로 떠올리기 힘들다. Backhaul은 Core network와 BS 간 링크를 뜻한다. 그렇다면 Midhaul과 Fronthaul도 유추가 가능하다! (정답을 알고싶다면 여기) 따라서 무선망과 코어네트워크 기지국간 링크를 합치겠다! 라는 것이 IAB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현재 Core Network와 연결된 BS 사이는 파란색 선..

지금까지 포스팅은 5G 기술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는 것들이었다. 오늘은 이것에 변주를 주어 6G 차세대 기술인 RI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이 기술이 나오게된 배경부터 살펴보자. 0. 6G와 RIS의 등장3G, 4G, 5G가 등장하고 이제 6G가 등장할 차례가 왔다. 매번 더 빠른 속도, 더 낮은 지연, 더 높은 신뢰성을 목표로 발전해온 이동통신 표준에서 6G는 THz 주파수 대역 활용, AI와의 융합 과 같은 부분을 선보이려고 한다. 현재 5G에서 사용하는 대역폭은 mmWave를 이용할 경우 최대 100 GHz까지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 속도를 올리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대역폭이 넓어지면 coverage가 점차 좁아진다. 그 이유는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록 직진성이 강하고 회절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