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ach (3)
민동

연이은 연휴 알바로 인해 상태가 말이 아니다.. 하지만 할건 해야지 지난 RRC State 포스팅을 통해 4G, 5G NAS, SA에서 State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inactive 상태가 무엇인지 깊이 들여다보았었다. 이번 편에서는 약 두 편에 걸쳐 사진의 초록색 글씨들의 역할들을 알아볼 것이다.가보자! 1. Signaling Flow위 사진에서 보았듯 남은 RRC의 역할은 SIB 관리 및 처리, SRB-DRB관리, Radio Link 관리, Security related, NAS message transfer이다. 우리는 이 역할들을 단말이 초기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폰을 껐다 키면 단말은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BS의 신호를 받는다. 모든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MIB와 SI..

이전 포스팅에서 빔포밍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오늘은 이 빔포밍을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1. 빔포밍 관리빔포밍 관리를 알기 전에 빔포밍에 대해 알아야 한다. 하지만 빔포밍에 설명은 수도 없이 했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하겠다. 빔포밍 관리는 크게 1. 빔을 어떻게 고르는가? 2. 빔을 어떻게 더 좋게 만드는가?로 나눌 수 있다. 이 과정 속에서 빔관리 P1, P2, P3라는 것이 있고 P1부터 소개해보겠다. 1-1. P1 (Beam Sweeping)P1은 빔포밍 연결 과정에서 처음으로 빔을 어떻게 UE가 고르는가에 관련된 이야기이다. LTE의 경우 eNB가 CRS 신호를 계속 보내면서 UE가 어떤 셀에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해주었다. 하지만 5G로 넘어오면서 빔포밍이 가능해지..

이전 포스팅에서 PSS - SSS - SIB의 MIB - SIB1을 읽은 후 RACH를 통해 Random Access를 한다고 했었다.오늘은 그 RACH를 통한 Random Access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한다. 1. Preamble과 RACH SIB1까지 읽은 UE는 네트워크에 접속을 요청하기 위해서 gNB에게 PRACH에게 Preamble이라는 메시지을 브로드캐스팅 한다. 단일 gNB에게 요청하는 것보다 (유니캐스트) 많은 gNB에게 네트워크 연결요청을 하는 것이 네트워크 연결에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한놈만 걸려라... 공교롭게도 같은 시간대에 똑같은 주파수 대역에 preamble을 보낸 두 UE가 있다고 하자. 그러면 어떻게 될까? 이러한 충돌(collision)이 생기게 되면 충돌한 p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