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o-ran (3)
민동

길었던 O-RAN 포스팅의 마지막 부분이다. 지난 두 포스팅을 요약하자면, 1.O-RAN은 다양한 장비사들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레고 블록처럼 조합해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RAN 아키텍처이다.2. O-RAN도 3GPP와 마찬가지로 표준을 만드는 기관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O-RAN Alliance가 있다.3. O-RAN Alliance는 Working group이 11개 있으며 각 그룹이 하는 일은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정도가 될 것 같다. (생각보다 꽤 간단하네..?)개방형으로 다양한 장비 제조사의 기술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최적화라는 큰 약점이 존재한다. 모든 장비 제조사가 동일한 Radio 성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각 기업마다 알고리즘, 노하우 등이 있으니) 이러..

3개월 전 57.Cell Sleep & MIMO Sleep에 이어서 오늘은 O-RAN에 대해서 알아보자 양이 많아서 약 3개의 포스팅에 걸쳐 소개를 할 것 같다. 1. O-RANO-RAN이란 Open-Ran이라는 뜻으로,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들을 제조사가 달라도 서로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한다. 이게 무슨 말이지? 싶을 것이다. (나도 그런다..) 아래 사진을 봐보자 사진은 우리가 사용하는 핸드폰이 어디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간단하게 나타나 있는 모습이다. 모든 정보를 담당하고 있는 Core network를 시작으로 기지국-UE 순서로 볼 수 있는데, 이 때 기지국은 안테나-BBU/RRU-AAU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정보는 34.이동통신 Hardware에 있으니 참..

RAN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RAN의 역사 ~ 3GRAN의 역사를 3G부터 간략하게 알아보자. 1-1. 3G RAN3G의 RAN은 Core - RNC - Node B의 구조로 되어있다. 이때 RNC(Radio Network Controller)는 다수의 Node B를 컨트롤 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Node B는 안테나가 달려있어 UE와의 통신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 방식은 RNC의 의존도가 매우 크다. RNC가 컨트롤 기능을 상실하면 Node B들을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또한 4G, 5G로 넘어오면서 동영상 재생, 실시간 스트리밍과 같이 데이터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UE의 활동량이 커졌고, 3G의 RAN구조는 이 패킷들을 감당하는데 너무 비효율적이었다. (UE에서 Core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