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08/04 (4)
민동
이번 포스팅은 IoT에 대해 이야기해보겠다. IoT는 Internet of Things의 줄임말로 사물 기기들을 모두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이런 IoT를 실현하기 위해서 여러 매개들이 사용되었는데 몇가지 살펴보도록하자. 1. IoT를 위한 노력들첫번째로 IEEE의 802.15.4가 있다. 이것은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국제 표준으로 이것을 기반으로 나온 무선 통신 기술 중 하나 Zigbee이다. 스마트 전구, 동작 감지 센서, 가전제품 원격 제어 등이 Zigbee를 사용한 예시이다. 두번째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가 있다.우리에게 친숙한 이 녀석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사물을 식별하고 추적하는 기술로 보통 물체에 ..
ENDC 개념을 배웠던 것이 기억날지 모르겠다. 간략하게 말하면 ENDC는 LTE와 5G에 동시에 연결하여 4G LTE를 중심으로 5G를 사용하는 기술이었다. 이번 포스팅에선 ENDC와 비슷한 느낌으로 DSS에 대해서 소개해보려고 한다. 1. DSS가 나오게 된 배경 먼저 DSS라는 기술이 나오게 된 배경부터 설명해보겠다. 영상에선 총 4가지 이유로 DSS가 나오게 된 배경을 설명한다. 요약하자면, 5G는 C-Band, mmWave와 같은 고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커버리지가 좁고, 캐리어가 한정되어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4G에서 5G로 부드럽게 통신 규격을 전환해야했고 동시에 빠르게 5G를 선보여야 했다. 그래서 나온 기술이 LTE와 스펙트럼을 공유하는 기술 DSS이다. 자세히 들여다보자2. ..
이번 포스팅은 기술적인 내용이 아닌 5G를 어디다 쓸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주제로 가볍게 이야기 해보겠다. 1. 5G란? 에서 5G가 이전 통신 규격보다 좋아진 점으로 Speed, Latency, Capacity 등을 언급했었다.4G보다 더 빠르고 저지연이며 대역폭이 넓은 5G는 V2X, AR, VR, IOT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중 어떤 분야가 5G의 킬러앱이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킬러앱 - 시장을 완전히 지배할 정도의 인기를 누리고 수십 배의 수익을 올리는 상품 또는 서비스) 4G를 예시로 들어보겠다. 4G는 가히 모바일 동영상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였다. Youtube, Netflix 와 같은 모바일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지배적인 인기를 끌었기 때문이다. Youtu..
NSA, SA 포스팅에 이어 ENDC에 대해 포스팅해보겠다. 들어가기 앞서 아래 두 사진은 내가 5분 간격으로 같은 위치에서 나의 폰 화면을 캡쳐 한 것이다. 보면 알 수 있듯이 데이터가 5G와 LTE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네트워크가 5G일 때와 LTE일 때 속도 체감을 느낄 수 있었다.주인 닮아 오락가락인가 분명 나는 5G 요금제를 쓰는데 '왜 LTE가 내 데이터에 뜨는 것인가?' 에 대해 궁금한 분들은 이번 포스팅을 보면 의문이 조금 풀릴지도 모르겠다. (NSA, SA) NSA에서 CP, UP의 작동 경로가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옵션 3에서는 3x가 5G 액세스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옵션들에 비해 좋다는 것도 알았다. 만약 eNB와 5G 모두를 통해서 데이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