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08/25 (3)
민동
스케줄링을 다룬 이전 포스팅에 비해 이번 포스팅은 조금은 가벼운(?) 이야기가 될 것 같다.(5G STUDY를 보면서 약간 쉬어가는 단계라고 생각해도 될 것같다.) 얼마 전에 Network Slicing에 대해 다루었던 적이 있다. 오늘은 Network Slicing 중에서 3GPP에서 발간한 Release 17에 관련 내용이 있어 이 부분을 Overview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한다. 현재는 Release 18까지 나옴! 3GPP에서는 매번 무선 통신 기술 및 표준화를 위해 릴리즈라는 단위로 새로운 기술과 기능을 정희하고 발표한다. 이 릴리즈 17에서는 5G 서비스 고도화, 산업용 IoT지원 강화 등을 다루었는데 우리는 RAN Slicing에 포커스를 맞추고 알아보자. 1. RAN Slicing in..
이전 포스팅에서 스케줄링은 어떤 요소들을 가지고 진행이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표준에서 정한 스케줄링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표준에서 정한 스케줄링은 Dynamic 스케줄링과 Semi persistent 스케줄링이 있다. 1. Dynamic 스케줄링Dynamic 스케줄링을 직역하면 동적인 스케줄링이다. Dynamic이라는 것 자체에서 우리는 힌트를 얻을 수 있는데, 이 스케줄링은 어떤 요소를 상황에 맞게 변화시켜서 스케줄링을 하는가 보다 라고 예측할 수 있다. Dynamic 스케줄링은 Uplink 와 Downlink 스케줄링으로 나뉜다. (Uplink, Downlink를 알고싶다면 여기로)우선 Downlink 스케줄링에 대해 알아보자 Downlink는 gNB 또는 eNB가 UE에게 ..
스케줄링 (1)에 이어서 포스팅해보겠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스케줄링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통신에서의 스케줄링을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으로 나누어서 진행한다고 하였다. 시간과 도메인으로 나누는 것까진 이해했지만 우리는 어떻게 이 리소스들을 할당해야할지는 배우지 않았다. 오늘 한 번 알아보도록하자.1. 어떻게 스케줄링을 할까?어떻게 스케줄링을 하는 가에 대해 묻는다면 답은 "알 수 없다"가 적절할 것 같다. 3GPP는 스케줄링에 대한 표준만 제시할 뿐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대략적인 틀만 제공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유는 생각해보면 쉽게 나온다. 스케줄링은 각 gNB, eNB에서 자기들이 가진 리소스를 UE들에게 나눠주는 것이다. 즉, 주파수를 가진 이동통신사나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