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08/26 (3)
민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BDDBZ/btsJeaeBReL/SyW4OBK6CZAwPZ2vmYjaQk/img.png)
EVM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EVM은 Error Vector Magnitude라는 뜻으로 통신에서 송-수신된 신호 사이의 오차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radio freq는 항상 에러가 생긴다. 노이즈, 간섭, 반사, HW 디자인 등 많은 요소들이 에러를 유발하곤 한다. 그렇다면 이 EVM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1. EVM 우리는 신호에 많은 데이터를 담기위해 다양한 변조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BPSK, QPSK, QAM 등.. EVM을 측정하기 위해서 그림의 16QAM을 예시로 들어보겠다. 16QAM은 Phase와 Amplitude를 다르게 하여 16개의 파형을 만든 것이다. 만약 0111의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했다면 오른쪽처럼 계산하여 EVM(%) 측정 가능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NfFH/btsJel1vNu5/rxiP8rjztVbAAPLftXnQl0/img.png)
딱히 포스팅을 시작할 말이 없네.. 그냥 시작하겠다. 오늘 다룰 내용은 채널이다. Channel은 데이터를 주고 받게 해주는 통로이다.이전 RAN 포스팅에서 다룬 계층들이 일종의 채널들인데 오늘은 그 채널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1. Channel 라디오 프로토콜의 채널은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RRC - SDAP/PDCP - RLC - MAC - PHY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까지 배운 것을 종합해보면 각 계층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는 대충 알 수 있다. RRC는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역할, SDAP는 QoS를 더 신경쓰기위해 UE쪽에 추가된 채널, PDCP는 패킷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역할, RLC는 무선 링크를 제어하는 역할, MAC 계층은 스케줄링을 담당하고 PHY 계층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5azh3/btsJfPNA9C5/J4RCeM31UWKO5GWIky1Kak/img.png)
이번 포스팅은 이동통신 Hardware에 대해 다뤄보겠다. 영상을 보면 안테나 구조부터 현업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비까지 설명을 하신다. 이해한 만큼 작성해보겠다. 1. 이동통신 하드웨어 구성이동통신에서 하드웨어 구성은 크게 기지국 - 스위치 - 코어 -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다.이때, 기지국(gNB)간 통신을 하려면 X2, Xn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코어(5G)와 통신을 하려면 NG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우리는 gNB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기지국은 안테나 - RRU(Remote Radio Unit) - BBU로 이루어져있다. RRU는 BBU와 안테나를 연결해주는 일종의 케이블 같은 역할을 하며 무선 신호를 송, 수신하여 BBU 또는 안테나로 신호를 보내준다. 이 후, BBU는 RRU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