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5G (72)
민동

Intra RAT에 이어서 A5메시지와, Inter RAT에 대해 알아보자. 1. A5지난 포스팅에서는 Inter Frequency에서 A4를 사용해서 Handover를 진행한다고 했다. 하지만 A5를 사용한 Handover도 있다. 이것을 알아보자. A5는 Pcell과 Scell의 핸드오버에서 사용되는데, 영상에서는 5G의 NSA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였다. 영상에서는 SpCell과 PCell, SCell 등을 설명하고 A5가 더 많이 쓰인다고만 했다. 그래서 그 이유를 찾아보았다. A4는 이웃 라디오의 RSRP가 특정값보다 커졌을 때의 이벤트이고 A5는 이웃 라디오의 RSRP가 특정값보다 커지고 내 라디오 신호의 RSRP가 특정값보다 작아졌을 때의 이벤트이다.SpCell, PCell, SCell h..

이전 포스팅 에서 알아봤던 Intra RAT의 Inter Frequency와 Intra Frequency를 집중적으로 파헤쳐보자 우선 handover의 기본동작부터 짚고 넘어가보겠다.Handover는 신호가 안 좋을 경우 다른 라디오로 넘어가려고 한다. 이때 내가 속한 라디오가 이웃 라디오한테 물어본다. "야, 내 라디오에 있는 Handset이 그쪽으로 가도돼?" 라고 물어보면 이웃 라디오에서 이에 대한 답을 해준다. "어, 와도 돼" 또는 "안돼, 나 좀 바쁜뎅..." 실제로 이러진 않겠지만 쉽게 풀어쓰면 이렇다는 거다 만약 가능하다면 Handset이 옮기고 나서 "야, 나 이쪽으로 옮겼어!"라고 기존 라디오한테 말해주고, 기존 라디오는 Core network한테 "야 내 라디오에 있던 애가 저 쪽..

이전 포스팅에 이어 Handover에 대해 알아보겠다. 이 포스팅을 포함해서 약 4개의 포스팅 동안 Handover에 대해서 알아볼건데, 오늘은 Handover를 살짝 살펴보기로 하겠다. 1. Handover초록색 기지국 Cell 안에서 나는 분홍색 기지국 쪽으로 전화를 하면서 걸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초록색 Cell 가장자리로 갈 수록 신호가 점점 약해졌고 그 범위를 벗어나자 결국 전화가 끊겨버렸다. Handover 기술이 없었다면 이런 일은 빈번하게 일어났을 것이다. 즉,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해도 통화 연결이 끊기지 않는 것 그것이 바로 Handvoer 기술이다. Handover 단말기가 현재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할 때, 통화가 끊기지 않고 계속 이어지도록 연결을 전환하는 기술 2...

휴대폰을 쓰다보면 지하나 인파가 많은 곳에서 네트워크가 안 잡힐 때가 있다. 바로 전파 세기가 약하기 때문인데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1. RSRQ, RSRP, SINR, RSSI전파 세기를 생각하면 내가 받는 전파가 얼마나 강한지(power)만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그 파워에는 나에게 유익한 정보를 주는 신호 뿐만 아니라, 의미없는 신호들( 간섭, 노이즈)들도 포함되서 들어온다. 따라서 절대적인 파워세기(dB) 뿐만 아니라 유익한 정보와 의미없는 신호 간의 비율(dBm)세기 또한 고려해야한다. 파워 대비 노이즈 신호가 얼마나 들어있느냐를 비율 측정하면 나에게 의미있는 신호의 세기를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그림은 dB와 dBm의 단위를 가진 값들을 보여주..

이전 포스팅들에서 3GPP에 대해 몇 번 언급한 적이 있다. 3GPP는 도대체 뭘까? 1. 3GPP3GPP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이동통신 국제표준화 협의체이다. 2G에서는 ETSI(유럽), TIA(북미) 등이 CDMA, GSM과 같은 다른 표준을 사용했었다. 하지만 3G로 넘어오면서 유럽의 ESTI를 중심으로 각 국가별 통신표준화기구들이 뭉쳐 하나의 통신표준 협의체 3GPP를 세웠다. (우리나라 통신표준화 기구이름은 TTA) 2. Release3GPP는 Release라는 이름으로 여러 표준을 묶어서 일정 기간마다 문서를 발간한다. 5G 내용을 처음으로 다룬 Release15에 대해 한번 알아보자.위 그림은 Release 15 timeline이다. Time..

지난 포스팅에서 주파수 경매를 통해 통신사들이 주파수를 정부로부터 대여하고 그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사업을 진행한다고 했었다. 그만큼 전파는 매우 비싸고 소중한 자원이다. 비싼 전파인 만큼 많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싦어서 보내는 것이 중요해졌는데, 그때 중요한 개념이 바로 이 Modulation이다. Modulation은 뭘까?? 1. 변조Modulation(변조)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변조 : 파동 형태의 신호 정보를 신호의 진폭, 주파수, 위상 등을 바꾸어 원하는 특성에 맞는 파형으로 변환하는 것. 이렇게 데이터를 싦기 위해 진폭, 주파수, 위상 등을 바꾸는 것을 변조라고 하며, 변조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비싸게 돈 주고 빌린만큼 이득을 봐야지 영상 속에서는 BPSK, QPSK,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