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민동

79. RRC- RLF(2) 본문

5G STUDY

79. RRC- RLF(2)

Min_Dong 2025. 4. 27. 17:01

지난 시간에 이어서 RLF 포스팅을 마무리 지으려고 한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서 설명하지 못했던 Retransmission이 실패할 때 발생하는 RLF와 RRE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해보겠다.

 

1. Retransmission에 따른 RLF

영상 속 재전송에 따른 RLF 발생 설명 사진

 

Retransmission에 따른 RLF 발생 flow는 다음과 같다. 우선 RLC 계층에서 신호를 받았음을 알려주는(ACK) AM 모드에서 이 프로세스가 작동을 한다. 먼저 UE가 데이터를 기지국에게 보낸다. 이때 데이터와 함께 t-pollRetransmit 타이머가 동시에 시작이 된다.

이 타이머는 UE가 polling bit를 세팅한 상태로 보낸 후, polling에 대한 응답을 주지 않으면 작동하는 타이머이다. (쉽게 보낸 패킷에 대해 ACK를 얼마나 기다릴지 설정하는 녀석)

이 후 ACK가 오지 않으면 계속 재전송을 하다가, Max RetxThreshold(최대 재전송횟수)를 넘기면 RLC는 더 이상 재전송을 시도하지 않고 UE는 RLF를 선언하게 되는 것이다.

 

한 줄 요약 : 데이터에 대한 ACK가 안오자 계속 재전송함 -> 일정 횟수를 넘기면 RLF라고 판단!

이렇게 RLF로 판단이 되면 곧바로 RRE 단계가 진행된다. (연결해야되니까!)

 

2. RRE (RRC Re-Establishment Request)

RRE는 이 사진 한 장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영상 속 RRE 설명 사진

 

RLF 이후 RRE 단계가 진행된다. 이것은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서 UE가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것이다. 이때 자기의 UE는 자신의 C-RNTI와 탐지한 셀의 PCI를 함께 보낸다. 기지국은 이것을 받고 이전에 어떤 UE였는지 확인하고 재연결을 진행해준다. 이때 UE에게 새로운 C-RNTI를 줄 수 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네트워크 정책에 따라 다르다고 한다!)

 

이전처럼 RRC 연결을 위해서 인증, 보안, NAS 전송, AS 보안 등등을 할 필요 없이 UE가 자기의 정보를 기지국에게 제공하면 재 연결을 해준다니.. 얼마나 편한 기술인가?ㅋㅋㅋ 어쨋든 RRE 단계에서 연결이 완료되면 UE는 이전과 동일하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끝.

이렇게 지금까지 올라온 유튜버 호통사님의 5G study 영상을 모두 리뷰해 보았다. 작년 여름방학에 시작하면서 꼭 방학 안에 끝내야지! 했는데 벌써 4월이다..  취업 준비를 위해서 공부한 것도 있지만 영상 리뷰를 할 수록 재미가 있기도 하고 그래서 꾸준히 글을 쓸 수 있었던 것 같다. 

다시 한번 흔쾌히 영상 리뷰에 대해 허락해주신 호통사님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이번 포스팅을 마치겠다. 

감사합니다 호통사님!

 

 

이 블로그는 수익형 블로그가 아니며, 개인 공부 기록을 위해 운영되는 블로그입니다.
원작자의 동의를 받고 출처를 밝히며 적습니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eMFtu8zJjWc&list=PLdjcO8otM2M-uJRGgmv3rHRqMInwHRwMd&index=82

 

'5G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78. RRC - RLF(1)  (0) 2025.04.27
77. RRC - SRB 0, 1, 2, 3  (0) 2025.04.27
76. RRC Inactive and RNA  (0) 2025.04.26
75. RRC with Signal Flow(2)  (0) 2025.04.24
74. RRC with Signal Flow(1)  (0) 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