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re (2)
민동

지난 시간에 이어서 RLF 포스팅을 마무리 지으려고 한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서 설명하지 못했던 Retransmission이 실패할 때 발생하는 RLF와 RRE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해보겠다. 1. Retransmission에 따른 RLF Retransmission에 따른 RLF 발생 flow는 다음과 같다. 우선 RLC 계층에서 신호를 받았음을 알려주는(ACK) AM 모드에서 이 프로세스가 작동을 한다. 먼저 UE가 데이터를 기지국에게 보낸다. 이때 데이터와 함께 t-pollRetransmit 타이머가 동시에 시작이 된다.이 타이머는 UE가 polling bit를 세팅한 상태로 보낸 후, polling에 대한 응답을 주지 않으면 작동하는 타이머이다. (쉽게 보낸 패킷에 대해 ACK를 얼마나 기다릴지..

오늘은 RLF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다. 1. RLF(Radio Link Failure)RLF는 기지국과 UE 간의 무선 연결이 끊어지는 상황을 뜻한다. 이렇게 끊어지면 UE는 당연히 네트워크에 연결을 못하는 상태이겠지? 그래서 UE는 다시 RRE(RRC Re-Establishment)라는 절차를 통해서 다시 연결을 시도한다. " 나 연결 끊겼으니까 다시 연결할래"라는 흐름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 RLF는 언제 발생할까? 영상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크게 세 가지 경우로 나뉜다. 영상에서는 이 중에서 시그널이 안 좋을 때와 Handover가 실패했을 때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추가로 RLF는 UE가 알아낸다고 되어 있다. 나는 이것을 기지국은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해주고 UE는 그것을 받아 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