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lc (3)
민동

지난 시간에 이어서 RLF 포스팅을 마무리 지으려고 한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서 설명하지 못했던 Retransmission이 실패할 때 발생하는 RLF와 RRE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해보겠다. 1. Retransmission에 따른 RLF Retransmission에 따른 RLF 발생 flow는 다음과 같다. 우선 RLC 계층에서 신호를 받았음을 알려주는(ACK) AM 모드에서 이 프로세스가 작동을 한다. 먼저 UE가 데이터를 기지국에게 보낸다. 이때 데이터와 함께 t-pollRetransmit 타이머가 동시에 시작이 된다.이 타이머는 UE가 polling bit를 세팅한 상태로 보낸 후, polling에 대한 응답을 주지 않으면 작동하는 타이머이다. (쉽게 보낸 패킷에 대해 ACK를 얼마나 기다릴지..

이전 포스팅에서 간략하게 다루었던 RLC 모드에 대해서 더 이야기해보자. 1. RLC 모드 RLC 모드에는 TM(transparent Mode), UM(Unacknowledged Mode), AM(Acknowledged Mode)가 있다. 1-1. TMTM을 직역하면 투명 모드인데 기능도 진짜 투명하다. 뭔 개소리지..?놀랍게도 TM은 RLC 내에서 어떠한 특별한 기능을 하지 않는다. 그냥 데이터가 RLC 계층을 통과하게 해주는 일종의 터널 역할만 한다. 굉장히 쓸모없어 보이는 모드지만 TM을 통과하면 데이터 전송 속도가 굉장히 빨라진다. (오류 검출, 재전송 같은 기능을 전혀 하지 않기때문에) TM모드에서는 브로드캐스팅, 페이징, 커몬컨트롤과 같이 handset이 네트워크와 연결되기 전에 사용되는..

딱히 포스팅을 시작할 말이 없네.. 그냥 시작하겠다. 오늘 다룰 내용은 채널이다. Channel은 데이터를 주고 받게 해주는 통로이다.이전 RAN 포스팅에서 다룬 계층들이 일종의 채널들인데 오늘은 그 채널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1. Channel 라디오 프로토콜의 채널은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RRC - SDAP/PDCP - RLC - MAC - PHY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까지 배운 것을 종합해보면 각 계층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는 대충 알 수 있다. RRC는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역할, SDAP는 QoS를 더 신경쓰기위해 UE쪽에 추가된 채널, PDCP는 패킷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역할, RLC는 무선 링크를 제어하는 역할, MAC 계층은 스케줄링을 담당하고 PHY 계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