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민동

78. RRC - RLF(1) 본문

5G STUDY

78. RRC - RLF(1)

Min_Dong 2025. 4. 27. 16:37

오늘은 RLF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다.

 

1. RLF(Radio Link Failure)

RLF는 기지국과 UE 간의 무선 연결이 끊어지는 상황을 뜻한다. 이렇게 끊어지면 UE는 당연히 네트워크에 연결을 못하는 상태이겠지? 그래서 UE는 다시 RRE(RRC Re-Establishment)라는 절차를 통해서 다시 연결을 시도한다. " 나 연결 끊겼으니까 다시 연결할래"라는 흐름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 RLF는 언제 발생할까? 영상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영상 속 RLF 발생 설명 사진

 

크게 세 가지 경우로 나뉜다. 영상에서는 이 중에서 시그널이 안 좋을 때와 Handover가 실패했을 때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추가로 RLF는 UE가 알아낸다고 되어 있다. 나는 이것을 기지국은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해주고 UE는 그것을 받아 쓰는 사용자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면 사용자가 그것을 알아내는 것이 당연하다. 라고 이해했다. 

 

1. 시그널이 안 좋을 때 RLF

영상 속 시그널이 안 좋을 때 RLF 발생 설명 사진

 

신호 품질이 저하되면 UE는 Out of Sync 상태를 detect하고 이를 통해 RLF를 감지한다. 이때 여러가지 판단 기준이 여러 개가 있다. 우선 BLER이다. BLER은 Block Error Rate로 블록 오류율로 전송한 데이터 블록 중 오류가 발생한 블록 비율을 뜻한다. 

 

UE는 BLER을 측정하고 이 값이 BLER Target(기준값)보다 크면 Out of Sync라고 판단한다. 하지만 한 번 가지고 RLF라고 단정짓긴 어려우니 여러번 Out of Sync가 발생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이때 이 횟수는 N310이라는 카운트 기준값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N310만큼 Out of Sync가 감지되고 나서 T310 타이머를 동작시켜서 제한 시간 내에 In Sync(연결됨)을 N311번 이상 감지하면 타이머를 중지하고 RLF로 판단하지 않는다. 하지만, T310 타이머가 돌 동안 In Sync가 N311의 기준 값에 미치지 못하면 타이머는 만료되고 이 때 RLF를 선언한다.

 

정리해보면 신호가 나빠서 N310번 이상 Out of Sync가 감지되고, T310이 끝날 때까지 회복이 안되면 RLF 발생이라고 할 수 있다.

 

2. Handover 실패로 인한 RLF

영상 속 Handover 실패 시 RLF 발생 설명 사진

 

이 경우는 Handover를 실패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이다. 흐름은 우선 Handover 명령(RRC Reconfiguration with Mobility Contorl Info)를 받은 후, T304 타이머를 시작한다. 이 T304 시간 내에 Handover가 완료되면 RLF가 발생하지 않지만 타이머 만료 후에도 handover를 완료하지 못하면 RLF를 발생시키는 원리이다. 여기서 T304는 handover 완료까지 허용하는 시간을 뜻한다.

 

RLF가 발생하면 다시 연결을 하는 RRE 절차를 시작하는데 이것은 다음 시간에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번 시간에는 RLF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는데 N310, N311, T304와 같은 신기한 파라미터들이 등장해서 조금 재밌게 포스팅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블로그는 수익형 블로그가 아니며, 개인 공부 기록을 위해 운영되는 블로그입니다.
원작자의 동의를 받고 출처를 밝히며 적습니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KkTsPHWR14s&list=PLdjcO8otM2M-uJRGgmv3rHRqMInwHRwMd&index=80

 

 

'5G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79. RRC- RLF(2)  (0) 2025.04.27
77. RRC - SRB 0, 1, 2, 3  (0) 2025.04.27
76. RRC Inactive and RNA  (0) 2025.04.26
75. RRC with Signal Flow(2)  (0) 2025.04.24
74. RRC with Signal Flow(1)  (0) 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