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5G STUDY (76)
민동
Multiple Access에 대해서 배워보았다.1장에서 배웠던 1G, 2G, 3G, 4G, 5G, 6G(?) 등의 이동통신 규격들은 모두 여러 사람이 "동시에" 데이터를 쓸 수 있게 지원해주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Multiple Access는 매우 쉬운 개념이다. 1. Multiplexing & Multiple AccessMultiple Access(다중접속) : 여러 기기가 한 개의 공통 채널을 통해서 통신하는 것 Multiple Access와 비슷하게 Multiplexing이라는 것이 있다. Multiplexing(다중화) : 각 기기들의 입력을 다 합쳐서 한가지 신호로 만들어 출력하는 것위 두 개념이 비슷하면서도 안 비슷해보이는데, 나만 그런가?? 이 부분이 궁금해서 찾아보니 Multi..
지난 1장에서 mmWave가 5G의 핵심기술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오늘은 그 mmWave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그 전에 배경지식부터 쌓아보자.1. wave?wave는 한국말로 '파'이다. 먹는 파 말고그 중에서도 전자기파는 정말 중요한 개념인데, 영어로는 electromagnetic wave라고 한다.정의로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파장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기파의 종류는 정말 다양한데, wavelength에 따라서 각 파들이 나뉜다.파장의 길이를 기준으로 분류하며 파장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λ(파장)=빛의 속도(c)/f(주파수/Hz)이 때 주파수는 1초에 진동횟수를 뜻하고 단위는 Hz를 쓴다. 만약 1초에 1000번 진동했으면 1kHz가 되는 것이다.일반적으로..
5G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1. 5G란 무엇인가? "나 LTE써", "이번에 5G로 바꿨어"라고 할 때 3G, 4G, 5G는 모두 이동통신 규격을 뜻한다.5G는 4G 이후에 나오는 새로운 이동통신 규격 fifth generation technology standard라고도 부른다. 이런 새로운 통신 규격들은 어떻게 탄생하게 되는것일까?먼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새 이동통신 규격의 요구사항을 제시한다.이 후 3GPP, IEEE 등과 같은 여러 통신 관련 그룹들이 모여 해당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통신기술을 만들고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하게 될 경우 ITU에서 새로운 통신규격으로 인정해준다. 2. 5G가 왜 좋은데?보는 것과 같이 5G(IMT-2020:초록색)은 IMT-advanced(연두색 : 4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