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mrs (2)
민동
MCS에 이어 오늘은 SINR과 Reference signal에 대해 알아보자. MCS는 채널상태에 따라 변조, 코딩률을 어떻게 설정해야하는지를 알려주는 가이드라인이라고 했다. 이 MCS를 결정하는데 주로 CQI가 사용되는데.. 이 CQI는 채널 상태를 측정해야 알아낼 수 있는 값이다. 이 부분에서 채널 상태를 어떻게 알아내는지가 오늘의 주제와 관련이 있다. 1. SINR과 RSCQI를 알아내기 위해 단말은 자신의 Radio 채널 상태를 측정해야한다. 이때 사용되는 지표가 바로 SINR이다. SINR은 Signal to Interference & Noise Ratio라는 뜻으로 신호 대 간섭, 잡음비를 의미한다. 이때 signal은 RSRP를 뜻하는데 RSRP는 Reference Signal Receiv..
딱히 포스팅을 시작할 말이 없네.. 그냥 시작하겠다. 오늘 다룰 내용은 채널이다. Channel은 데이터를 주고 받게 해주는 통로이다.이전 RAN 포스팅에서 다룬 계층들이 일종의 채널들인데 오늘은 그 채널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1. Channel 라디오 프로토콜의 채널은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RRC - SDAP/PDCP - RLC - MAC - PHY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까지 배운 것을 종합해보면 각 계층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는 대충 알 수 있다. RRC는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역할, SDAP는 QoS를 더 신경쓰기위해 UE쪽에 추가된 채널, PDCP는 패킷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역할, RLC는 무선 링크를 제어하는 역할, MAC 계층은 스케줄링을 담당하고 PHY 계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