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MCS (2)
민동
오늘은 MCS와 Link Adaptation에 대해 알아보자.1. MCSMCS는 Modulation Coding Scheme을 뜻한다. Modulation과 Coding에 대해서 알아야하는데.. Modulation같은 경우는 과거에 포스팅한 적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MCS에서 Coding은 데이터를 보낼 때 에러 수정코드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원본 데이터 신호를 보낼 때 에러 수정을 위한 데이터도 추가로 보낸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위 그림처럼 데이터를 7bit 보낸다고 가정해보자. 초록색의 5bit는 내가 보낼 데이터이고 빨간색의 2bit는 5bit를 위한 에러 수정 bit이다. 그렇다면 이 2bit가 왜 필요할까? 바로 라디오 채널 상태가 항상 깨끗하지 않고 일정 간섭이 존재하기..
스케줄링 (1)에 이어서 포스팅해보겠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스케줄링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통신에서의 스케줄링을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으로 나누어서 진행한다고 하였다. 시간과 도메인으로 나누는 것까진 이해했지만 우리는 어떻게 이 리소스들을 할당해야할지는 배우지 않았다. 오늘 한 번 알아보도록하자.1. 어떻게 스케줄링을 할까?어떻게 스케줄링을 하는 가에 대해 묻는다면 답은 "알 수 없다"가 적절할 것 같다. 3GPP는 스케줄링에 대한 표준만 제시할 뿐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대략적인 틀만 제공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유는 생각해보면 쉽게 나온다. 스케줄링은 각 gNB, eNB에서 자기들이 가진 리소스를 UE들에게 나눠주는 것이다. 즉, 주파수를 가진 이동통신사나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