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5G (72)
민동

PDCP에 이어서 SDAP에 대해 알아보자. 1. SDAP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이전 포스팅에서 SDAP는 UP(User plane)에만 있고 CP(Control plane)에는 없다고했었다. 이 계층은 5G로 넘어오면서 더 많은 application을 커버하기 위해서 QoS를 관리해야하고 그렇기 때문에 UE쪽에 새롭게 생겨났다고 했었다. 4G에서는 이 기능이 분산되어 있었지만 5G에 오면서 QoS를 위한 전담 계층이 생겼다고 이해하면 편할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이 생긴다. NSA, SA와 같은 기능에서 SDAP 계층은 있을까? 없을까? 우선 SA는 5G core- RAN을 사용하기 때문에 당연히 SDAP 계층이 있다. 문제는 NSA인데.. 정답은 ..

이틀만의 포스팅! 오늘은 PDCP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계속해서 Radio Network Protocol을 하위 계층에서부터 알아보고 있는데... 기억이 나지 않으면 이전 포스팅을 보는 것을 추천한다. 계층에 대해서 간략히 다시 설명하자면, 안테나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Phy를 시작으로 RA를 담당하는 MAC, 여러가지 모드(TM, UM, AM)가 있는 RLC 그리고 PDCP가 있다. 그림을 보면 알 수 있지만 User plane과 Control plane은 PDCP 계층을 끝으로 상위 계층이 조금씩 달라진다. User plane은 유저가 직접 사용하는 데이터, Control plane은 그 시스템 구동을 위한 데이터들을 관리한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느낌! 더 자세히 말해보면, User 쪽에서는 SD..

지난 포스팅에서는 RLC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계속해서 RAN protocol에 대해 공부를 하고 포스팅을 하고 있는데, 오늘은 조금 가벼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바로 Wifi - Calling이다. 1. 집에서 전화가 안 돼요... 지하철, 엘리베이터, 지하층에 가면 휴대폰 네트워크가 말썽을 일으키는 것을 한 번쯤 다 경험해봤을 것이다. 그림처럼 신호 강도가 떨어지면 인터넷 연결은 물론이고 전화까지 잘 안되는 경우가 있다. 도대체 왜 이런 상황이 발생할까??? 영상에서 설명하는 이유와 내가 생각하는 이유를 종합해서 이야기 해보면 크게 2가지 인 것같다.1. gNB에서 멀리 떨어져있어 신호 세기가 약해지는 경우2. 무언가 신호를 오지 못하게 막고있는 경우 와 같이 생각해볼 수 있다. 실제로 집..

이전 포스팅에서 간략하게 다루었던 RLC 모드에 대해서 더 이야기해보자. 1. RLC 모드 RLC 모드에는 TM(transparent Mode), UM(Unacknowledged Mode), AM(Acknowledged Mode)가 있다. 1-1. TMTM을 직역하면 투명 모드인데 기능도 진짜 투명하다. 뭔 개소리지..?놀랍게도 TM은 RLC 내에서 어떠한 특별한 기능을 하지 않는다. 그냥 데이터가 RLC 계층을 통과하게 해주는 일종의 터널 역할만 한다. 굉장히 쓸모없어 보이는 모드지만 TM을 통과하면 데이터 전송 속도가 굉장히 빨라진다. (오류 검출, 재전송 같은 기능을 전혀 하지 않기때문에) TM모드에서는 브로드캐스팅, 페이징, 커몬컨트롤과 같이 handset이 네트워크와 연결되기 전에 사용되는..

이전 포스팅에서 HARQ와 ARQ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했었다. ARQ는 오류난 데이터를 다 폐기하고 데이터를 재전송 받는 반면 HARQ는 오류난 부분만 다시 재선송 받는 기법을 사용한다고 했었다. 따라서 HARQ를 사용하면 딜레이를 줄일 수 있다라고 까지 했었다. 오늘은 왜 HARQ와 ARQ가 같이 쓰여야하는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Hamming distance, FEC 위의 큰 토픽을 알기 위해서는 FEC와 Hamming distance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1-0. Hamming distance Hamming Distance란 두 bit를 비교해서 같으면 0으로 count하고 다르면 1씩 증가시키는 것으로 두 문자열이 얼마나 다른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척도라고 할 수 있다. 위의..

이전 포스팅에서 MAC 계층의 기능으로 HARQ가 있다고 했다. 오늘은 그 HARQ에 대해서 알아보자.1.ARQHARQ는 MAC 계층에 존재하는 하나의 기능으로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뜻한다. 데이터를 받거나 보낼 때 발생하는 또는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오류를 보정하고 재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HARQ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기 위해서는 우선 ARQ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야한다. 아래 그림을 보자. ARQ는 RLC 계층에 있는 하나의 기능으로 HARQ와 똑같이 오류를 검출하고 보정하고 재전송을 하는 역할을 한다.그림으로 예시를 들어보겠다. Tx에서 Rx에게 요청한 데이터를 보낸다. 그리고 Rx에서는 Tx에게 데이터에 이상이 없고 온전히 잘 받았으면 잘 받았다는 표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