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09/01 (3)
민동
오늘은 Time Sync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Time SyncTime sync랑 Time synchronization을 줄임말로 시간 동기화를 뜻한다. 이동통신 세계에서는 시간 동기화가 굉~~~~~~~~~장히 중요한데 그 이유를 한번 알아보자. 위 그림에 나온 스케줄링, CA/ENDC, 핸드오버는 Time sync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아주 좋은 예시들이다. 먼저 스케줄링은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서 주파수 단위로 쪼갤 것인가 시간 단위로 쪼갤 것인가를 고민하기 때문에 Time sync가 맞지 않다면 제대로 된 스케줄링을 할 수 없게 된다. 두 번째로 CA/ENDC이다. CA는 MAC 계층에서 여러 캐리어를 묶어서 큰 캐리어로 사용하는 기술이었고 ENDC는 4G와 5G를 같이 사용하는 기술이라고 설..
PDCP에 이어서 SDAP에 대해 알아보자. 1. SDAP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이전 포스팅에서 SDAP는 UP(User plane)에만 있고 CP(Control plane)에는 없다고했었다. 이 계층은 5G로 넘어오면서 더 많은 application을 커버하기 위해서 QoS를 관리해야하고 그렇기 때문에 UE쪽에 새롭게 생겨났다고 했었다. 4G에서는 이 기능이 분산되어 있었지만 5G에 오면서 QoS를 위한 전담 계층이 생겼다고 이해하면 편할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이 생긴다. NSA, SA와 같은 기능에서 SDAP 계층은 있을까? 없을까? 우선 SA는 5G core- RAN을 사용하기 때문에 당연히 SDAP 계층이 있다. 문제는 NSA인데.. 정답은 ..
이틀만의 포스팅! 오늘은 PDCP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계속해서 Radio Network Protocol을 하위 계층에서부터 알아보고 있는데... 기억이 나지 않으면 이전 포스팅을 보는 것을 추천한다. 계층에 대해서 간략히 다시 설명하자면, 안테나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Phy를 시작으로 RA를 담당하는 MAC, 여러가지 모드(TM, UM, AM)가 있는 RLC 그리고 PDCP가 있다. 그림을 보면 알 수 있지만 User plane과 Control plane은 PDCP 계층을 끝으로 상위 계층이 조금씩 달라진다. User plane은 유저가 직접 사용하는 데이터, Control plane은 그 시스템 구동을 위한 데이터들을 관리한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느낌! 더 자세히 말해보면, User 쪽에서는 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