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민동

68. 인공위성 이동통신 본문

5G STUDY

68. 인공위성 이동통신

Min_Dong 2025. 1. 19. 13:46

RIS에 이어 오늘은 인공위성 이동통신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다.

 

영상에서는 호주 이동통신사를 기준으로 이야기하고 있는데 나는 이걸 한국의 통신사에 관련지어서 한번 풀어보려고 한다! 따라서, 영상과 결은 같지만 다루는 내용은 많이 다를 수 있으니 혹시 호주 이통사의 이야기를 듣고 싶다면 영상을 확인하면 좋을 것 같다.

 

1. 인공위성 이동통신 

영상 속 인공위성 위성통신 설명

 

TTA 정보통신용어사전에 의하면 인공위성 이동통신(위성통신)은 인공위성을 사용하여 지상과 위성 간 또는 위상 상호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이라고 한다. 즉 위성을 가지고 통신을 하는 것! 이라고 쉽게 이해하면 된다.

 

위 사진처럼 기존 기지국은 코어네트워크와 유선망으로 연결되고 기지국과 단말은 무선으로 연결되었다면, 위성통신은 코어 네트워크 - 인공위성 - 단말이 모두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한다.

 

이러한 위성 통신은 위성 전화에서 사용되어 왔다. 보통 오지나 통신이 지 않는 곳에서 비상 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된 목표였다. 하지만 이 위성 통신의 틀을 깬 한 기업이 있었으니.. 바로  Space X의 starlink이다.

 

2. 위성 통신의 선두주자 Starlink

기존 위성 폰은 통신 인프라가 닿지 않는 곳에서 사용되었다. 하지만 Starlink의 LEO 기반 통신 시스템이 나오면서 이 틀이 조금은 바뀌었다.  (LEO = Low Earth Orbit : 저궤도 위성)

Starlink Map의 LEO 위성들 (출처 : https://www.starlinkmap.org/)

 

위 사진처럼 5,601개의 starlink의 LEO가 지구 주변을 돌면서 언제 어디서든 통신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실제로, Starlink 홈페이지의 Availability Map을 보면 꽤 많은 나라에서 서비스가 진행 중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위성과 통신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을까? 대표적인 제품 Dishy를 한번 살펴보자

Starlink의 대표 제품 Dishy

 

Starlink는 Dishy라는 위성 접시안테나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여 Starlink 위성과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작동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Dishy를 설치해주고 그 Dishy의 커버리지 안에 있으면 위성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Dishy는 자동 조향 기능을 통해 가장 가까운 Starlink 위성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말과 연동되어 가장 좋은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위치를 탐지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설치만 하면 통신이 되기 때문에 굉장히 간단하게 통신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다.

물론 무게가 무겁고, 장애물이 많을 시 신호 품질의 저하, 높은 전력 소비 등의 단점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에도 어디서든 통신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다는 점이 아주 큰 메리트이지 않나 싶다. 

3. 우리나라는?

서비스 Comming soon!!!

 

위에서 Starlink의 Availability Map을 보면 우리나라는 Service Date is unknown at this time이라고 뜬다. 서비스 제공은 comming soon이지만 언제 제공할지는 미지수라는 뜻인데,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2024년 10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스타링크 단말기를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행정예고를 했다. 행정예고 마감 후 보통 3~4개월 동안의 행정절차를 거친뒤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게 된다. 

 

잇따른 뉴스로, 2025년 1월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에 스타링크 서비스의 국경 간 공급협정 승인을 위한 주파수 이용조건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17일에 스페이스 X로부터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확정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250113132600017?utm_source=chatgpt.com)

 

이렇게 된다면 아마 3월에서 4월 즈음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스타링크를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국내에 스타링크가 상용화된다면 어떤 변화가 또 있을까? 기대를 하며 포스팅을 마치겠다.

 

이 블로그는 수익형 블로그가 아니며, 개인 공부 기록을 위해 운영되는 블로그입니다.
원작자의 동의를 받고 출처를 밝히며 적습니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dlL6vG3hoBw&list=PLdjcO8otM2M-uJRGgmv3rHRqMInwHRwMd&index=69

 

 

 

 

 

 

 

'5G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70. LAA  (0) 2025.01.20
69. IAB  (0) 2025.01.19
67. RIS  (0) 2025.01.17
66. CoMP  (0) 2025.01.16
65. eICIC and FeICIC  (0) 2025.01.15